2007.10.31

아버지(김찬숙)와 어머니(이계수)의 고향은 경남 진양군 미촌면. 현재 진주시에 편입됐지만 산으로 둘러싸인 두메산골이다. 일제시대 먹고살 길이 막막해 가족들은 고향을 버리고 배를 타고 일본으로 건너가 나고야에 먼저 정착했다. 그러나 이내 나고야를 떠나 재일동포들이 많이 사는 교토로 이주했다. 집은 기차역 근처였다. 항상 기차의 기적소리를 듣고 살았다. 역에서 철교를 건너야 집으로 올 수 있었다.

김성근은 교토에서 1942년 12월 한겨울에 3남4녀 중 남자로서는 막내. 전체 형제자매 중에서 6번째로 태어났다. 그 중 셋째가 일찍 병으로 세상을 떠났고. 그의 밑에 여동생이 한명 더 있다.

아버지는 교토 건설현장에서 흔히 ‘노가다’라고 말하는 막노동을 했다. 가족은 많았지만 입에 풀칠을 하기도 어려웠던 시절. 감자로 끼니를 때울 때가 많았고. 때로는 그 감자조차 없어서 굶주림에 허덕였다. 어린 김성근과 막내 누이동생만 빼고는 모두 일을 하러 나갔다.

중학교 1학년 때였다. 저녁 무렵 누군가가 급히 집으로 찾아왔다. 아버지가 철교에서 죽은 것 같다고 말했다. 같이 가서 확인해달라는 것이었다. 스무살 위의 큰형과 김성근 둘이 현장으로 달려갔다. 그러나 시신은 형체를 도저히 알아볼 수 없을 만큼 산산조각이 났다. 철로 옆에 나뒹구는 손가방이 있었다. 아버지의 가방이었다. 그제서야 그 시신이 아버지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버지는 무척 술을 좋아했어. 고된 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면 막내아들인 나한테 술 심부름을 자주 시켰지. 확인할 길은 없지만 그날도 아마 술을 마셨던 것 같아. 우리집 앞 역에는 완행열차만 서는데 철교를 걸어오다 뒤에 오는 급행열차에 깔려 돌아가셨던 모양이야.”

아버지 얘기를 하는 그의 목소리가 젖어들었다. 그렇잖아도 힘든 살림은 아버지의 사망으로 더욱 쪼들렸다. 형과 누나들이 일을 나가서 벌어온 돈으로 겨우 끼니를 해결했다. 김성근은 중학교 1학년 여름에 복막염에 걸려 3개월간 죽을 고비를 맞기도 했다. 병원에 갈 돈조차 없었다. 그런데 복막염에 걸린 이유도 기막히다. 무더운 여름에 배가 고파 물을 너무 많이 마셨던 것이 원인이 됐다. 그만큼 처절하게 가난과 싸웠다.

그는 혈혈단신 한국으로 건너와 야구를 했지만 어머니와 형제자매는 일본에 터를 잡고 살았다. 한국에서 그야말로 사고무친(四顧無親)의 몸이었다. 어머니는 OB 감독시절 일본에서 세상을 떠났다.

이재국기자 keystone@


출처 : http://news.sportsseoul.com/read/baseball/482127.htm?ArticleV=old

Posted by 개살구
,